您的位置:万语首页>学习指南韓國漢文小說:麴醇傳

韓國漢文小說:麴醇傳

来源: nahan2221 | 更新日期:2013-06-11 08:55:41 | 浏览(79)人次

국순전(麴醇傳)-임춘(林春)


국순전-임춘(林春)


麴醇字子厚(국순자자후) : 국순(麴醇, 누룩, 진국 술)의 자는 자후(子厚)이며,

其先隴西人也(기선롱서인야) : 그 조상은 농서( 중국의 지명, 지금의 감숙성) 사람이다.

九十代祖牟佐后稷(구십대조모좌후직) : 90대 할아버지인 모(牟, 보리)가 후직을 도와

粒蒸民有功焉(립증민유공언) : 뭇 백성들을 먹여 살리는 데 공이 있었으니,

詩所謂貽我來牟是也(시소위이아래모시야) : <시경(詩經)>에서, "내게 밀과 보리[來·牟]를 주었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

牟始隱不仕曰(모시은불사왈) : 모가 처음에 숨어 살며 벼슬을 하지 않고 말하기를,

吾必耕而後食矣(오필경이후식의) : "나는 반드시 밭을 갈아야 먹을 것이다."

라고 하며


乃居畎畝(내거견무) : 견묘(밭도랑, 밭이랑)에서 기거했었다.


上聞其有後(상문기유후) : 임금이 모에게 후사(後嗣 : 대를 이을 자식)가 있다는 말을 듣고

詔以安車徵之(조이안거징지) : 조서를 내리고 수레를 보내어 들어오라 하며,

下郡縣所在敦遣(하군현소재돈견) : 군현(郡縣)에 명하여 곳곳에서 예물을 후하게 보내게 하고

命下臣親造其廬(명하신친조기려) : 신하들을 시켜 직접 그의 집에 찾아가게 하니,

遂定交杵臼之間(수정교저구지간) : 기어이 방아와 절구 사이에서 교분을 맺고서

而和光同塵矣(이화광동진의) : 세속에 나오게 했다.

熏蒸漸漬(훈증점지) : 향기롭게 찌고 축축히 젖어들게 되자

有醞藉之美(유온자지미) : 마음이 호탕해지는 맛이 있어,

牟乃喜曰(모내희왈) : 모가 기뻐하며,

成我者朋友也(성아자붕우야) :

"나를 완성시키는 것은 벗이라고 하더니,

豈不信然(개부신연) : 그 말을 믿지 않을 수 없구나."라고 했다.

旣而以淸德聞(기이이청덕문) :

드디어 맑은 덕으로써 이름이 알려지니

乃表旌其閭焉(내표정기려언) : 임금이 그의 집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였다.

從上祀圜丘(종상사환구) : 임금을 따라 원구(하늘에 제사지내는 단)에서 제사를 지낸

以功封中山侯(이공봉중산후) : 공으로 중산후에 봉해지면서

食邑一萬戶(식읍일만호) : 식읍2)(食邑)은 일만 호,

食實封五千戶(식실봉오천호) : 식실봉은 오천 호,

賜姓爲麴氏(사성위국씨) : 성은 국(麴)씨를 내렸다.


五世孫輔成王(오세손보성왕) : 5세손이 성왕을 도와

以社稷爲己任(이사직위기임) : 사직을 자기의 책임으로 삼고

致太平旣醉之盛(치태평기취지성) : 아주 평화롭고도 얼큰하게 취해 있는 세상을 만들었다.

康王卽位(강왕즉위) : 강왕이 왕위에 오르자

漸見疏忌(점견소기) : 점차 멀리하고 꺼려져서,

使之禁錮(사지금고) : 금고(禁錮)3)에 처해지고

著於誥令(저어고령) : 포고령(布告令)이 내려지게 되었다.

是以(시이) : 그래서

後世無顯著者(후세무현저자) : 후세에 두드러진 이는 없고

皆藏匿於民間(개장닉어민간) : 민간에 숨어 살게 되었다.

至魏初(지위초) : 위나라 초기에 이르자

醇父酎知名於世(순부주지명어세) : 순(醇 : 진한 술 순)의 아버지인 주(酎 : 진한 술 주)가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니,

與尙書郞徐邈偏汲引於朝(여상서랑서막편급인어조) : 상서랑인 서막(徐邈)이 함께 하며 그를 조정에 끌어들이고,

每說酎不離口(매설주불리구) : 말할 때마다 주를 입에서 떼지 않았다.

時有白上者(시유백상자) : 어떤 사람이 마침내 임금에게,

邈與酎私交(막여주사교) : "서막이 주와 함께 사사로이 사귀어

漸長亂階矣(점장란계의) : 점점 기강을 어지럽히고 있습니다."라고 아뢰었다.

上怒(상노) : 임금이 진노하여

召邈詰之(소막힐지) : 서막을 불러 힐문(詰問)5)하자,

邈頓首謝曰(막돈수사왈) : 서막은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하기를,

臣之從酎(신지종주) : "제가 주를 따르는 것은 그

以其有聖人之德(이기유성인지덕) : 에게 성인의 덕이 있어

時復中之耳(시부중지이) : 수시로 그 덕을 마셨기 때문입니다."라고 했다.

上乃責之(상내책지) : 임금이 이렇게 하여 그것을 책망하였고,

及晉受禪(급진수선) : 그후에 진(晉)이 위(魏)로부터 선양(禪讓)받게 되자

知將亂(지장란) : 세상이 어지러워질 것을 알고

無仕進意(무사진의) : 다시 벼슬할 뜻이 없어

與劉伶(여류령) : 유령이나

阮籍之徒(완적지도) : 완적(阮籍)과 같은 무리와 더불어

爲竹林遊以終其身焉(위죽림유이종기신언) : 죽림에서 놀려 자기의 일생을 마쳤다.


醇器度弘深(순기도홍심) : 국순의 조상 주와 서막순의 기국과 도량이 크고도 깊으니

汪汪若萬頃陂水(왕왕약만경피수) : 그것의 출렁거림과 넘실거림이 만경창파(萬頃蒼波)와 같아,

澄而不淸(징이불청) : 맑게 하려고 해도 맑아지지 않고

擾之不濁(요지불탁) : 뒤흔들어도 흐려지지 않았으며,

其風味傾於一時(기풍미경어일시) : 그 풍미(風味)를 한번 기울이면

頗以氣加人(파이기가인) : 제법 기운을 사람에게 더해 주었다.

嘗詣葉法師(상예엽법사) : 일찍이 섭법사(葉法師)에게 찾아가

談論彌日(담론미일) : 온종일 담론하였는데,

一座爲之絶倒(일좌위지절도) :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매우 감탄하게 되어

遂知名(수지명) : 드디어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號爲麴處士(호위국처사) : 호를 국 처사(處士)라고 했는데,

自公卿大夫神仙方士(자공경대부신선방사) : 공경대부(公卿大夫), 신선, 도사들로부터

至於廝兒牧豎夷狄外國之人(지어시아목수이적외국지인) : 머슴, 목동, 오랑캐, 외국 사람에 이르기까지

飮其香名者皆羨慕之(음기향명자개선모지) : 그 향기로운 이름을 맛보는 자는 모두 그를 흠모하여

每有盛集(매유성집) : 성대한 모임이 있을 때마다

醇不至(순부지) : 순이 오지 않으면

咸愀然曰(함초연왈) : 모두 다 시무룩하여,

無麴處士不樂(무국처사불낙) : "국 처사가 없으면 즐겁지가 않다."라고 하였으니

其爲時所愛重如此(기위시소애중여차) : 그가 당시 사람들에게 사랑받음이 이와 같았다.


大尉山濤有鑑識(대위산도유감식) : 태위(太尉)산도(山濤)가 감식(鑒識)이 있었는데,

嘗見之曰(상견지왈) : 일찍이 그를 말하기를,

何物老姁生此寧馨兒(하물로후생차녕형아) : “어떤 늙은 할미가 요런 갸륵한 아이를 낳았는고.

然誤天下蒼生者(연오천하창생자) : 그러나 천하의 창생(蒼生)을 그르칠 자는

未必非此人也(미필비차인야) : 반드시 이 놈일 것이다.” 하였다.

公府辟爲靑州從事(공부벽위청주종사) : 공부(公府)에서 불러 청주 종사(靑州從事)를 삼았으나,

以鬲上非所部(이격상비소부) : 격(鬲)의 위가 마땅한 벼슬 자리가 아니므로 고

改調爲平原督郵(개조위평원독우) : 쳐 평원독우(平原督郵)를 시켰다.

久之歎曰(구지탄왈) : 얼마 뒤에 탄식하기를,

吾不爲五斗米折腰(오부위오두미절요) : “내가 쌀 닷말 때문에 허리를 굽혀

向鄕里小兒(향향리소아) : 향리의 소아에게 향하지 않으리니,

當立談樽俎之間耳(당립담준조지간이) : 마땅히 술 단지와 도마 사이에 서서 담론할 뿐이로다.” 하였다.

時有善相者曰(시유선상자왈) : 그때 관상을 잘 보는 자가 있었는데 그에게 말하기를,

君紫氣浮面(군자기부면) : “그대 얼굴에 자줏빛이 떠있으니, 매양 보호하였다.

後必貴(후필귀) : 뒤에 반드시 귀하여

享以千鍾矣(향이천종의) : 천종록(千鍾祿)을 누릴 것이다

宜待善價而沽之(의대선가이고지) : 마땅히 좋은 대가를 기다려 팔라.” 하였다.

陳後之時(진후지시) : 진후주(陣後主) 때에

以良家子拜主客員外郞(이량가자배주객원외랑) : 양가(良家)의 아들로서 주객 원외랑(主客員外郞)을 받았는데,

上乃器異之(상내기이지) : 위에서 그 기국을 보고 남달리 여겨

將有大用意(장유대용의) : 장차 크게 쓸 뜻이 있어,

因以金甌覆而選之(인이금구복이선지) : 금구(金甌 쇠나 금으로 만든 사발)로 덮어 빼고

擢遷光祿大夫禮賓卿(탁천광록대부례빈경) : 당장에 벼슬을 올려 광록대부 예빈경(光祿大夫禮賓卿)으로 삼고,

進爵爲公(진작위공) : 작(爵작(酌))을 올려 공(公)으로 하였다.

凡君臣會議(범군신회의) : 대개 군신의 회의에는

上必使醇斟酌之(상필사순짐작지) : 반드시 순(醇)을 시켜 짐작(斟酌)하게 하나,

其進退酬酢(기진퇴수초) : 그 진퇴와 수작이 .

從容中於意(종용중어의) : 조용히 뜻에 맞는지라,

上深納之曰(상심납지왈) : 위에서 깊이 받아들이고 이르기를,

卿所謂直哉惟淸(경소위직재유청) : “경이야말로 이른바 곧음 그것이고, 오직 맑구나.

啓乃心沃朕心者也(계내심옥짐심자야) : 내 마음을 열어주고 내 마음을 질펀하게 하는 자로다.” 하였다.


醇得用事(순득용사) : 순(醇)이 권세를 얻고 일을 맡게 되자,

其交賢接賓(기교현접빈) : 어진이와 사귀고 손님을 접함이며,

養老賜酺(양로사포) : 늙은이를 봉양하여 술ㆍ고기를 줌이며,

祀神祇祭宗廟(사신기제종묘) : 귀신에게 고사하고 종묘에 제사함을

醇優主之(순우주지) : 모두 순(醇)이 주장하였다.

上嘗夜宴(상상야연) : 위에서 일찍 밤에 잔치할 때도

唯與宮人得侍(유여궁인득시) : 오직 그와 궁인(宮人)만이 모실 수 있었고,

雖近臣不得預(수근신불득예) : 아무리 근신이라도 참예하지 못하였다

自是之後(자시지후) : 이로부터 위에서

上以沈酗廢政(상이침후폐정) : 곤드레 만드레 취하여 정사를 폐하고,

醇乃以箝其口而不能言(순내이겸기구이불능언) : 순은 이에 제 입을 자갈물려 말을 하지 못하므로

故禮法之士(고례법지사) : 예법(禮法)의 선비들은

疾之如讎(질지여수) : 그를 미워함이 원수 같았으나,

上每保護之(상매보호지) : 위에서 매양 그를 보호하였다.

醇又好聚斂營資產(순우호취렴영자산) : 순은 또 돈을 거둬들여 재산 모으기를 좋아하니,

時論鄙焉(시론비언) : 시론(時論)이 그를 더럽다 하였다.

上問曰(상문왈) : 위에서 묻기를,

卿有何癖(경유하벽) : “경은 무슨 버릇이 있느냐.” 하니,

對曰(대왈) : 대답하기를, http://www.ryedu.net

昔杜預有傳癖(석두예유전벽) : “옛날에 두예(杜預)는 《좌전(左傳)》의 벽(癖)이 있었고,

王濟有馬癖(왕제유마벽) : 왕제(王濟)는 말[馬]의 벽이 있었고,

臣有錢癖(신유전벽) : 신은 돈 벽이 있나이다.” 하니,

上大笑(상대소) : 위에서 크게 웃고

注意益深(주의익심) : 사랑함이 더욱 깊었다.

嘗入奏對于上前(상입주대우상전) : 일찍이 임금님 앞에 주대(奏對)할 때,

醇素有口臭(순소유구취) : 순이 본래 입에 냄새가 있으므로

上惡之曰(상악지왈) : 위에서 싫어하여 말하기를,

卿年老氣渴(경년로기갈) : “경이 나이 늙어 기운이 말라

不堪吾用耶(불감오용야) : 나의 씀을 감당치 못하는가.” 하였다.

醇遂免冠謝曰(순수면관사왈) : 순이 드디어 관(冠)을 벗고 사죄하기를,

臣受爵不讓(신수작부양) : “신이 작(爵)을 받고 사양하지 않으면

恐有斯亡之患(공유사망지환) : 마침내 망신할 염려가 있사오니,

乞賜臣歸于私第(걸사신귀우사제) : 제발 신을 사제(私第)에 돌려 주시면

則臣知止足之分矣(칙신지지족지분의) : 신은 족히 그 분수를 알겠나이다.” 하였다.

上命左右扶出焉(상명좌우부출언) : 위에서 좌우에게 명하여 부축하여 나왔더니,

旣歸(기귀) : 집에 돌아와

暴病渴(폭병갈) : 갑자기 병들어

一夕卒(일석졸) : 하루 저녁에 죽었다.

無子(무자) : 아들은 없고, .

族弟淸後仕唐(족제청후사당) : 족제(族弟) 청(淸)이 뒤에 당 나라에 벼슬하여

官至內供奉(관지내공봉) : 벼슬이 내공봉(內供奉)에 이르렀고,

子孫復盛於中國焉(자손부성어중국언) : 자손이 다시 중국에 번성하였다


史臣曰(사신왈) : 사신(史臣)이 말하기를,

麴氏之先(국씨지선) : “국씨(麴氏)의 조상이

有功于民(유공우민) : 백성에게 공이 있었고,

以淸白遺子孫(이청백유자손) : 청백(淸白)을 자손에게 끼쳐

若鬯之在周(약창지재주) : 창(鬯)이 주(周)나라에 있는 것과 같아

馨德格于皇天(형덕격우황천) : 향기로운 덕이 하느님에게까지 이르렀으니,

可謂有祖風矣(가위유조풍의) : 가히 제 할아버지의 풍이 있다 하겠다.

醇以挈甁之智(순이설병지지) : 순(醇)이 설병(挈甁 손에 쥐은 작은 병)의 지혜로

起於甕牖(기어옹유) : 독 들창에서 일어나서

早中金甌之選(조중금구지선) : 일찍 금구(金甌)의 선발에 뽑혀

立談樽俎(립담준조) : 술단지와 도마에 서서 담론하면서도

不能獻可替否(불능헌가체부) : 옳고 그름을 변론하지 못하고,

而迷亂王室(이미란왕실) : 왕실이 미란(迷亂)하여

顚而不扶(전이불부) : 엎어져도 붙들지 못하여

卒取笑於天下(졸취소어천하) : 마침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巨源之言(거원지언) : 거원(중국 진(晉)나라 때의 문인)의 말이

有足信矣(유족신의) : 족히 믿을 만한 것이 있도다.” 하였다





文章标签:韓國漢文小說:麴醇傳,阅读学习,韩语更多相关文章信息
如果下面的推荐课程让您意犹未尽,请猛击这里查看全部课程。
课程名称 有效期 课时 原价 优惠价 试听 购买
韩国语等级考试0-2级课程 400天 150节 1400.0元 680.0元
韩国语等级考试2-3级课程 400天 100节 1400.0元 680.0元
韩国语等级考试3-4级课程 400天 100节 1400.0元 680.0元
中韩交流标准韩国语初级第一册 300天 116节 900.0元 550.0元
中韩交流标准韩国语初级第二册 300天 150节 1000.0元 650.0元
中韩交流标准韩国语初级全套(第一、二册)
关闭查看课程有效期
查看
300节 1900.0元 850.0元
中韩交流标准韩国语中级第一册 300天 150节 1000.0元 650.0元
新版标准韩国语初级一册 300天 74节 900.0元 350.0元
新版标准韩国语初级二册 360天 120节 1000.0元 450.0元
新版标准韩国语初级全套(一册、二册)
关闭查看课程有效期
查看
194节 1900.0元 650.0元
韩语入门 90天 24节 420.0元 175.0元
韩语提高 180天 80节 550.0元 260.0元
韩语常用语 60天 20节 150.0元 60.0元
韩语全套 (入门、提高、常用语)
关闭查看课程有效期
查看
124节 1120.0元 315.0元
商务韩语口语强化 300天 100节 550.0元 260.0元
商务韩语套装(入门、商务口语)
关闭查看课程有效期
查看
124节 970.0元 315.0元
韩语综合全套 (入门、提高、常用语、商务口语)
关闭查看课程有效期
查看
224节 1670.0元 470.0元
韩国语能力考试TOPIK初级真题详解(8套) 120天 144节 500.0元 350.0元
韩国语能力考试TOPIK初级真题详解(20套) 240天 360节 800.0元 600.0元
韩国语能力考试TOPIK中级真题详解(8套) 120天 144节 500.0元 350.0元
韩国语能力考试TOPIK中级真题详解(20套) 240天 360节 800.0元 600.0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