万语网:韩语阅读学习:孔方傳
공방전(孔方傳)-임춘(林春)
공방전-임춘(林春)
孔方字貫之(공방자관지) : 공방의 자는 관지이니,
其先嘗隱首陽山(기선상은수양산) : 그 조상이 일찍이 수양산(首陽山)에 숨어
居窟穴中(거굴혈중) : 굴혈(崛穴) 속에서 살아
未嘗出爲世用(미상출위세용) : 아직 나와서 세상에 쓰여진 적이 없었다.
始黃帝時稍採取之(시황제시초채취지) : 처음 황제(皇帝) 때에 조금 채용되었으나,
然性強硬(연성강경) : 성질이 굳세어 .
未甚精鍊於世事(미심정련어세사) : 세상일에 그리 단련되지 못하였었다.
帝召相工觀之(제소상공관지) : 제(帝)가 상공(相工)을 불러 보이니,
工熟視良久曰(공숙시량구왈) : 공(工)이 한참 동안 들여다보고 말하기를,
山野之質(산야지질) : “산야(山野)의 성질이
雖藞苴不可用(수약저부가용) : 비록 쓸 만하지 못하오나,
若得遊於陛下之造化爐錘間(약득유어폐하지조화로추간) : 만일 폐하가 만물을 조화하는 풀무와 망치 사이에 놀아
而刮垢磨光則其資質當漸露矣(이괄구마광칙기자질당점로의) : 때를 긁고 빛을 갈면 그 자질이 마땅히 점점 드러나리이다.
王者使人也器之(왕자사인야기지) : 왕자(王者)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릇이 되게 하오니,
願陛下無與頑銅同棄爾(원폐하무여완동동기이) : 원컨대 폐하는 저 완고한 구리와 함께 내버리지 마옵소서.” 하였다.
由是顯於世(유시현어세) : 이로 말미암아 그가 세상에 이름이 나타났다.
後避亂徙江滸之炭鑪步(후피란사강호지탄로보) : 뒤에 난리는 피하여 강가의 숯화로[炭鑪] 거리로 이사하여
因家焉(인가언) : 거기서 눌러 살게 되었다.
父泉(부천) : 그의 아버지 천(泉)은
周大宰(주대재) : 주(周) 나라의 대재(大宰)로
掌邦賦(장방부) : 나라의 부세(賦稅)를 맡았었다.
方爲人(방위인) : 방(方)의 위인 됨은
圓其外方其中(원기외방기중) : 밖은 둥글고 안은 모나며,
善趨時應變(선추시응변) : 때에 따라 변화를 잘하여,
仕漢爲鴻臚卿(사한위홍려경) : 한(漢) 나라에 벼슬하여 홍로경(鴻臚卿)이 되었다.
時吳王濞驕僭專擅(시오왕비교참전천) : 그 때에 오왕(吳王) 비(濞)가 교만하고 참월(僣越)하여 권세를 도맡아 부렸는데,
方與之爲利焉(방여지위리언) : 방이 그에게 붙어 많은 이득을 보았다.
虎帝時海內虛耗(호제시해내허모) : 무제(武帝) 때에 천하의 경제가 궁핍하여
府庫空竭(부고공갈) : 나라의 창고가 텅 비었으므로,
上憂之(상우지) : 위에서 걱정하여
拜方爲富民侯(배방위부민후) : 방을 벼슬시켜 부민후(富民侯)를 삼아
與其徒充鹽鐵丞僅同在朝(여기도충염철승근동재조) : 그의 무리 염철승(鹽鐵丞) 근(僅)과 함께 조정에 있었는데,
僅每呼爲家兄不名(근매호위가형부명) : 근이 매양 형님이라 하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方性貪汙而少廉隅(방성탐오이소렴우) : 방의 성질이 욕심많고 더러워 염치가 없었는데,
旣摠管財用(기총관재용) : 이제 재물과 씀씀이를 도맡게 되니
好權子母輕重之法(호권자모경중지법) : 본전 이자(利子)의 경중을 저울질하는 법을 좋아하여,
以爲便國者不必古在陶鑄之術爾(이위편국자부필고재도주지술이) : 나라를 편하게 하는 것은 반드시 질그릇ㆍ쇠그릇을 만드는 술(術)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하여,
遂與民爭錙銖之利(수여민쟁치수지리) : 백성과 더불어 작은 이익이라도 다투고
低昂物價(저앙물가) : 물건 값을 낮추어
賤穀而重貨(천곡이중화) : 곡식을 천하게 하고, 화(貨)를 중(重)하게 하여
使民棄本逐末(사민기본축말) : 백성으로 하여금 근본(농업)을 버리고 끝을 좇게 하여
妨於農要(방어농요) : 농사에 방해를 끼치므로
時諫官多上疏論之(시간관다상소론지) : 때로 간관(諫官)들이 많이 상소하여 논했으나
上不聽(상부청) : 위에서 듣지 않았다.
方又巧事權貴(방우교사권귀) : 방은 또 재치있게 권귀(權貴)를 잘 섬겨
出入其門(출입기문) : 그 문(門)에 드나들며
招權鬻爵(초권죽작) : 권세를 부리고, 벼슬을 팔아
升黜在其掌(승출재기장) : 올리고 내침이 그 손바닥에 있으므로,
公卿多撓節事之(공경다요절사지) : 공경들이 많이 절개를 굽혀 섬기니,
積實聚斂(적실취렴) : 곡식을 쌓고 뇌물을 거두어
券契如山(권계여산) : 문권(文卷)과 증서가 산같아
不可勝數(부가승수) : 이루 셀 수가 없었다.
其接人遇物(기접인우물) : 그는 사람을 접하고 인물을 대함에도
無問賢不肖(무문현부초) : 어질고 불초함을 묻지 않고,
雖市井人(수시정인) : 비록 시정(市井) 사람이라도
苟富於財者(구부어재자) : 재물만 많이 가진 자면
皆與之交通(개여지교통) : 다함께 사귀고 통하니,
所謂市井交者也(소위시정교자야) : 이른바 시정의 사귐이란 것이다.
時或從閭里惡少(시혹종려리악소) : 때로는 혹 거리의 악소년(惡少年)들과 어울려
以彈棋格五爲事(이탄기격오위사) : 바둑 두기와 투전하기로 일을 삼아서,
然頗好然諾(연파호연낙) : 자못 연락(然諾)을 좋아하므로
故時人爲之語曰(고시인위지어왈) : 그때 사람들이 말하기를,
得孔方一言(득공방일언) : “공방(孔方)의 말 한마디면
重若黃金百斤(중약황김백근) : 무게가 황금 백근만 하다.” 하였다.
元帝卽位(원제즉위) : 원제(元帝)가 위(位)에 오르자
貢禹上書(공우상서) : 공우(貢禹)가 상서하여 아뢰기를,
以爲方久司劇務(이위방구사극무) : “방이 오랫동안 극무(劇務)를 맡아 보면서,
不達農要之本(불달농요지본) : 농사의 근본을 알지 못하고
徒興管榷之利(도흥관각지리) : 한갓 장사치의 이익만을 일으켜
蠹國害民(두국해민) : 나라를 좀먹고 백성을 해하여
公私俱困(공사구곤) : 공사가 다 곤궁하오며,
加以賄賂狼藉(가이회뢰랑자) : 더구나 뇌물이 낭자하고 청탁이 버젓히 행하오니,
請謁公行(청알공행) : 공평한 시행을 알리기를 청하였다
蓋負且乘(개부차승) : 대저 ‘지고 또 타면
致寇至(치구지) : 도둑이 이르게 된다.’ 한 것은
大易之明戒也(대역지명계야) : 대역(大易)의 분명한 경계이니,
請免官以懲貪鄙(청면관이징탐비) : 청컨대 그를 면직시켜 욕심많고 더러운 자를 징계하옵소서.” 하였다.
時執政者有以穀梁學進(시집정자유이곡량학진) : 그때에 집정자가 곡량(穀梁)의 학(學)으로 진출한 이가 있어,
以軍資乏(이군자핍) : 군자(軍資)의 장(將)으로
將立邊策(장립변책) : 변책(邊策)을 세우려 하니
疾方之事(질방지사) : 방 의 일을 미워하여
遂助其言(수조기언) : 드디어 그 말을 도우니,
上乃頷其奏(상내함기주) : 위에서 그 사룀을 들어
方遂見廢黜(방수견폐출) : 방이 드디어 쫓겨나게 되었다.
謂門人曰(위문인왈) : 그가 문인에게 하는 말이,
吾頃遭主上(오경조주상) : “내가 얼마전에 임금님을 뵙고
獨化陶鈞之上(독화도균지상) : 혼자 천하의 정치를 도맡아 보아,
將以使國用足而民財阜而已(장이사국용족이민재부이이) : 장차 나라의 경제가 족하고 백성의 재물이 넉넉하게 하고자 하였더니,
今以微罪(금이미죄) : 이제 하찮은 죄로
乃見毀棄(내견훼기) : 내버림을 당하게 되었지만,
其進用與廢黜(기진용여폐출) : 나아가 쓰이거나 쫓겨나 버림을 받거나
吾無所增損矣(오무소증손의) : 나로서는 더하고 손해날 것이 없다.
幸吾餘息(행오여식) : 다행히 나의 남은 목숨이
不絶如線(불절여선) : 실오라기처럼 끊어지지 않고,
苟括囊不言(구괄낭부언) : 진실로 주머니속에 감추어 말없이
容身而去(용신이거) : 내 몸을 용납하였다. 가서
以萍遊之迹(이평유지적) : 뜬 마름[萍]과 같은 자취로
便歸于江淮別業(편귀우강회별업) : 곧장 강회(江淮)의 별업에 돌아가
垂緡若冶溪上(수민약야계상) : 약야계(若冶溪) 위에 낚시줄을 드리우고
釣魚買酒(조어매주) : 고기를 낚아 술을 사며,
與閩商海賈拍浮酒船中(여민상해가박부주선중) : 민상(閩商)과 해고(海賈)와 더불어 술배[酒船]에 둥실 떠 마시면서
以了此生足矣(이료차생족의) : 한 평생을 마치면 그만이다.
雖千鍾之祿(수천종지록) : 비록 천종(千種)의 녹(祿)과
五鼎之食(오정지식) : 오정(五鼎)의 밥인들 .
吾安肯以彼而博此哉(오안긍이피이박차재) : 내 어찌 그것을 부러워하여 이와 바꾸랴.
然吾之術(연오지술) : 그러나 나의 술수가
其久而當復興乎(기구이당부흥호) : 아무래도 오래면 다시 일어나리로다.” 하였다
晉和嶠聞其風而悅之(진화교문기풍이열지) : 진(晉)나라 화교(和嶠)가 풍(風)을 듣고 기쁘게 사귀어
致貲巨萬(치자거만) : 큰 재산을 모았고,
遂愛之成癖(수애지성벽) : 드디어 그를 사랑하여, 벽(癖)을 이루었으므로 와 같았다.
故魯褒著論非之(고로포저논비지) : 노포(魯褒)가 논(論)을 지어 그것을 비난하고
以矯其俗(이교기속) : 그릇된 풍속을 바로잡았다.
唯阮宣子以放達(유완선자이방달) : 오직 완선자(阮宣子 적(籍))만은 방달(放達)하여
不喜俗物(불희속물) : 속물(俗物)을 즐기지 않았으되,
而與方之徒杖策出遊(이여방지도장책출유) : 방 의 무리와 더불어 막대를 짚고 나가 놀아
至酒壚(지주로) : 목노술집에 이르러
輒取飮之(첩취음지) : 문득 취하도록 마셨고,
王夷甫口未嘗言方之名(왕이보구미상언방지명) : 왕이보(王夷甫)는 입에 일찍이 방 의 이름을 담지 않고
但稱阿堵物耳(단칭아도물이) : 다만 그것이라 일컬었으니,
其爲淸議者所鄙如此(기위청의자소비여차) : 그가 깨끗한 자에게 비천하게 여겨짐이 이와 같았다
唐興(당흥) : 당나라가 일어나자
劉晏爲度支判(류안위도지판관) : 유안(劉晏)이 탁지판관(度支判官)이 되었는데,
以國用不贍(이국용부섬) : 나라의 씀씀이 넉넉하지 못하므로,
請復方術(청부방술) : 임금께 청하여 다시 방 의 (術)을 써서
以便於國用(이편어국용) : 나라의 씀씀이를 편하게 하자 하였으니,
語在食貸志(어재식대지) : 그의 말이 식화지(食貨志)에 있다.
時方沒已久(시방몰이구) : 그때에 방(方)은 죽은 지가 이미 오래였고,
其門徒遷散四方者(기문도천산사방자) : 그 문도로서 사방에 옮아 흩어져 있는 자들이
物色求之(물색구지) : 물색 되어 찾아서 .
起而復用(기이부용) : 기용되어 다시 쓰이게 되었다
故其術大行於開元天寶之際(고기술대행어개원천보지제) : 그러므로 그 술(術)이 개원(開元)ㆍ천보(天寶)의 즈음에 크게 행하여
詔追爵方朝議大夫少府(조추작방조의대부소부승) : 위에서 조서(調書)를 내려 방에게 조의대부 소부승(朝議大夫少府丞)의 벼슬을 추증하였다.
及炎宋神宗朝(급염송신종조) : 남송(南宋) 신종조(神宗朝) 때에
王安石當國(왕안석당국) : 왕안석(王安石)이 나라 일을 맡아보면서
引呂惠卿同輔政(인려혜경동보정) : 여혜경(呂惠卿)을 끌어 함께 정사를 도왔는데,
立靑苗法(립청묘법) : 청묘법(靑苗法)을 세우니,
天下始騷然大困(천하시소연대곤) : 그때에 천하가 비로소 떠들썩하여 아주 못살게 되었다.
蘇軾極論其弊(소식극론기폐) : 소식(蘇軾)이 그 폐단을 극론하여
欲盡斥之(욕진척지) : 그들을 모조리 배척하려다가
而反爲所陷(이반위소함) : 도리어 모함에 빠져
遂貶逐(수폄축) : 쫓겨나 귀양가게 되매,
由是朝廷之士不敢(유시조정지사불감언) : 그로부터 조정의 인사들이 감히 말하지 못하였다.
司馬光入相(사마광입상) : 사마광(司馬光)이 재상(相)으로 들어가
奏廢其法(주폐기법) : 그 법을 폐하기를 아뢰고
薦用蘇軾(천용소식) : 소식(蘇軾)을 천거하여 쓰니,
而方之徒稍衰減而不復(이방지도초쇠감이부부성언) : 방(方)의 무리가 조금 세력이 감쇠되어 다시 성하지 못하였다.
方子輪以輕薄獲譏於世(방자륜이경박획기어세) : 방 의 아들 윤(輪)은 경박하여 세상의 욕을 먹었고,
後爲水衡令(후위수형령) : 뒤에 수형령(水衡令)이 되었으나
贓發見誅云(장발견주운) : 장물죄(臟物罪)가 드러나 사형되었다고 한다.
史臣曰(사신왈) : 사신(史臣)이 말하기를,
爲人臣而懷二心(위인신이회이심) : “남의 신하가 되어 두 마음을 품고
以邀大利者(이요대리자) : 큰 이익을 바라는 자가
可謂忠乎(가위충호) : 어찌 충성스럽다 말 할 구 있으리오
方遭時遇主(방조시우주) : 이제 때를 만나고 주인을 만나
聚精會神(취정회신) : 정신을 모으고 마음을 도사려
以握手丁寧之契(이악수정녕지계) : 정녕(丁寧) 한 약속을 손에 잡아
橫受不貲之寵(횡수부자지총) : 그다지 적지 않은 사랑을 받았으니,
當興利除害(당흥리제해) : 마땅히 일으키고 해를 덜어
以報恩遇(이보은우) : 그 은우(恩遇)를 갚을 것이거늘,
而助濞擅權(이조비천권) : 비(濞)를 도와 권세를 도맡아 부리고
乃樹私黨(내수사당) : 이에 사사로운 당(黨)을 세웠으니,
非忠臣無境外之交者也(비충신무경외지교자야) : 충신은 경외(境外)의 사귐이 없다는 것에 어그러진 자이다.” 하였다. 外语爱好者网站-韩语
方沒(방몰) : 방(方)이 죽자
其徒復用於炎(기도부용어염송) : 그 무리가 다시 남송(南宋)에 쓰여져
阿附執政(아부집정) : 집정자에게 아부하여
反陷正人(반함정인) : 도리어 올바른 사람들을 모함하였으니,
雖脩短之理在於冥冥(수수단지리재어명명) : 비록 길고 짧은 이치는 저 명명(冥冥)한 데 있으나,
若元帝納貢禹之言(약원제납공우지언) : 만일 원제(元帝)가 진작 공우(貢遇)의 한 말을 용납하여
一旦盡誅(일단진주) : 하루 아침에 다 죽여버렸던들
則可以滅後患也(칙가이멸후환야) : 가히 후환을 없앴을 터인데,
而止加裁抑(이지가재억) : 오직 재억(裁抑)만을 더하여
使流弊於後世(사류폐어후세) : 후세에 폐단을 끼체게 하였으니,
豈先事而言者嘗患於不見信乎(기선사이언자상환어불견신호) : 대저 일보다 말이 앞서는 자는 늘 미덥지 못함이 걱정이로다
万语网:韩语阅读学习:孔方傳
|